Monokai color to Sherwin-Williams mapping
(monokai-blue-light "#89BDFF") -> SW 6961 BLUE BEYOND
(monokai-gray "#595959") -> SW 7048 URBANE BRONZE
(monokai-gray-darker "#383830") -> SW 6258 TRICORN BLACK
(monokai-gray-darkest "#141411") -> SW 6990 CAVIAR
(monokai-gray-lightest "#595959") -> SW 7048 URBANE BRONZE
(monokai-gray-light "#E6E6E6") -> SW 6539 SOOTHING WHITE
(monokai-green "#A6E22A") -> SW 6920 CENTER STAGE
(monokai-green-light "#A6E22E") -> [SW 6920 CENTER STAGE]
# source : http://code.google.com/p/natvpn/source/browse/trunk/stun_server_list | |
# A list of available STUN server. | |
stun.l.google.com:19302 | |
stun1.l.google.com:19302 | |
stun2.l.google.com:19302 | |
stun3.l.google.com:19302 | |
stun4.l.google.com:19302 | |
stun01.sipphone.com | |
stun.ekiga.net |
$OutputEncoding = New-Object -typename System.Text.UTF8Encoding | |
[Console]::OutputEncoding = New-Object -typename System.Text.UTF8Encoding |
- 한국어 번역(초벌): nacyot
- 같이 읽으면 좋은 문서들
// $ scala-2.11.5 -Xexperimental | |
// Original Java 8 version: http://winterbe.com/posts/2014/07/31/java8-stream-tutorial-examples/ | |
scala> import java.util.{Arrays, List, ArrayList} | |
scala> import java.util.stream.{Stream, IntStream} | |
// List<String> myList = Arrays.asList("a1", "a2", "b1", "c2", "c1"); | |
scala> val myList = Arrays.asList("a1", "a2", "b1", "c2", "c1") |
이 글은 메아리 저널에 쓸 목적으로 한동안 작업하던 글입니다. 메아리 특유의 디자인(...)이 싫다면 여기로 링크하셔도 됩니다. 어느 쪽이든간에 의견은 이 아래의 코멘트 란 또는 메아리에 기재되어 있는 메일 주소를 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fthrasiir
암호학을 사용하는 많은 시스템은 세부적으로 무슨 알고리즘을 쓰는지보다는 그 알고리즘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즉 구조가 실제 안전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빌딩 블럭을 아는 것이 중요한데, 여기에서는 이러한 암호학적 빌딩 블럭과 함께 블럭들이 어떻게 쓰여서 더 큰 구조를 만드는지를 알아 본다.
키 교환. 두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새로운 키를 만든다. 이 과정이 끝나도 상대방이 내가 아는 사람인진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상대방과 내가 같은 키를 가지고 있다는 건 확신할 수 있다.
var elements = document.querySelectorAll("div"), | |
callback = (el) => { console.log(el); }; | |
// Spread operator | |
[...elements].forEach(callback); | |
// Array.from() | |
Array.from(elements).forEach(callback); | |
// for...of statement |
안녕하세요. 사원사업부의 마루야마@h13i32maru입니다. 최근의 Web 프론트엔드의 변화는 매우 격렬해서, 조금 눈을 땐 사이에 점점 새로운 것이 나오고 있더라구요. 그런 격렬한 변화중 하나가 ES6이라는 차세대 JavaScript의 사양입니다. 이 ES6는 현재 재정중으로 집필시점에서는 Draft Rev31이 공개되어있습니다.
JavaScript는 ECMAScript(ECMA262)라는 사양을 기반으로 구현되어있습니다. 현재 모던한 Web 브라우저는 ECMAScript 5.1th Edition을 기반으로 한 JavaScript실행 엔진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버전인 ECMAScript 6th Edition이 현재 재정중으로, 약칭으로 ES6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글쓴이: 김정주([email protected])
이 문서는 텐서플로우 공식 페이지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텐서플로우(TensorFlow)는 기계 학습과 딥러닝을 위해 구글에서 만든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 데이터 플로우 그래프(Data Flow Graph)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