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개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UI패턴은 ListView에서 여러 이미지를 보여주는 Activity입니다. 전형적인 흐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목록조회 API호출
2. API를 파싱하고 ListView에 데이터를 보여 줌.
3. 각 아이템마다의 이미지 주소로 다시 서버를 호출
4. 이미지를 디코딩하고 ImageView에서 보여줌.
<?xml version="1.0" encoding="UTF-8"?> | |
<!DOCTYPE plist PUBLIC "-//Apple//DTD PLIST 1.0//EN" "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 | |
<plist version="1.0"> | |
<dict> | |
<key>fileTypes</key> | |
<array> | |
<string>feature</string> | |
</array> | |
<key>firstLineMatch</key> | |
<string>기능|機能|功能|フィーチャ|خاصية|תכונה|Функціонал|Функционалност|Функционал|Особина|Могућност|Özellik|Właściwość|Tính năng|Savybė|Požiadavka|Požadavek|Osobina|Ominaisuus|Omadus|OH HAI|Mogućnost|Mogucnost|Jellemző|Fīča|Funzionalità|Funktionalität|Funkcionalnost|Funkcionalitāte|Funcționalitate|Functionaliteit|Functionalitate|Funcionalitat|Funcionalidade|Fonctionnalité|Fitur|Feature|Egenskap|Egenskab|Crikey|Característica|Arwedd(.*)</string> |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UI패턴은 ListView에서 여러 이미지를 보여주는 Activity입니다. 전형적인 흐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목록조회 API호출
2. API를 파싱하고 ListView에 데이터를 보여 줌.
3. 각 아이템마다의 이미지 주소로 다시 서버를 호출
4. 이미지를 디코딩하고 ImageView에서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