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Show Gist options
  • Save Curookie/c58e4e989ed472985ab1387bb8b4334e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Save Curookie/c58e4e989ed472985ab1387bb8b4334e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WOL, 무선 멀티 브리지, 인터넷 망 구축, 무선 WAN
[상황과 구조 설명]
내 상황은 랜선이 오로지 방 하나에서만 나올 수 있는 구조 KT인터넷을 사용했고 거실에 있는 공유기를 각 방에 유선으로 분배하면 선이
너무 더러워질 거 같고 무엇보다도 어디서든 작업할 수 있도록 WOL을 내 데스크톱에 구현하고 싶어서 멀티 브리지를 구축했다.
장점은 5GHz(무선)의 수용범위도 늘고 긴 거리의 선이 필요 없어(공유기 간의 선이 사라짐) 깔끔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LAN연결이기 때문에 WOL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랜선 -(유선)- KT모뎀 -(유선)- IPTIME공유기[거실 메인] -(무선=멀티브리지)- IPTIME공유기[내방 데톱옆에 서브] -(유선)- WOL쓸 데스크톱
[기술과 조건 설명]
멀티 브리지 구현 = 한 개의 네트워크 망으로 무선 인터넷을 확장해주는 방법으로 서브 공유기에 무선 인터넷을 받아서 분배해줄 수 있다.
(무선 인터넷을 유선으로 나눠줄 수 있다.)
WOL(Wake On Lan) 구현 = 원격으로(패킷으로) 컴퓨터 전원을 킬 수 있는 기능.
- ㄹㅇ 개빡침
[조건]
1. 우선 메인보드의 랜카드가 지원해야하고 WOL (최신꺼 대부분 다 됨)
2. 공유기가 WOL기능을 지원해야하며 난 iptime을 사용했음.
3. ***무선 랜카드는 WOL 할 수 없다! == 유선으로 해야함 하지만 난 무선인터넷을 써야해서 편법으로 공유기 두대로 멀티 브리지(=서브 공유기를 리피터로 활용하는 방법,서브 공유기와 유선 연결이지만 실제는 무선네트워크 사용)를 이용한 것
윈도우 10 PRO 기준
[BIOS에서 해야하는 것]
1) ASUS메인보드 Advanced > APM > PCI Disable -> Enabled
[WINDOW에서 해야하는 것]
1) 설정 > 시스템 > 전원 및 절전 > 추가 전원 설정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 ***빠른 시작 켜기(권장) 해제 > 그 후 이건 옵션인데 컴퓨터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시간 변경 30분인데 이거 원격연결 된 상태에서 절전모드되면 못킨다고 한다. 그니까 나는 2시간으로 변경
+ 업데이트 하거나 그러면 다시 빠른 시작이 켜질 수 있어서 이걸 매번 부팅할 때마다 적용하든지 알아서 잘 처신해두도록 이 옵션 register위치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Power에 HiberbootEnabled 1-> 0으로 변경
+ 업데이트 시 자동으로 꺼주는 코드 참고 https://gmyankee.tistory.com/117
2) 장치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열어서 LAN카드 속성 > 드라이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 고급탭가서 PME 활성화, Wake on Magic Packet, Wake on Pattern Match Enable (Wake on Magic 관련된거 한글로 되어있을수도 있음 다 Enable시킴)
> 전원 관리탭가서 3개 다 체크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터~, 이 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 ~, 매직 패킷에서만 ~)
3) WOL쓸 랜카드 맥주소 알아놔야하므로 > 실행 cmd치고 > ipconfig /all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속성 보기 가서 물리적 주소(MAC) 메모해두기
[공유기에서 해야하는 것]
1~4 메인공유기 편
1) 메인 공유기(iptime 나는 듀얼밴드지원되는 모델임) > 기본설정 탭 - 펌웨어 업데이트 > 인터넷 설정 정보가서 외부 IP주소 메모(나중에 밖에서 WOL쓸 때 사용할 주소) > 2G, 5G 설정해두기(넘기초라 생략)
+ 고급 설정>네트워크 관리탭 - 내부 네트워크 설정 192.168.1.1(이건 내가 개발할때 내장 서버 아파치나 이런거랑 겹칠까봐 설정(옵션)
2) +와 같은 탭 - DHCP서버 설정가서 [PC 정보] 수동 주소 입력 192.168.1.?(WOL PC 할당할 주소 난 서브공유기 11, PC 12로 설정했음 만약 +안했으면 192.168.0.?으로 지정해야함!! ) 위에서 맥주소 알아둔거 입력 설명에는 아무거나 입력 후 수동 등록버튼 눌러서 등록 ([공유기 정보] 수동 등록은 옵션임)
3) 고급설정>보안기능탭 - 공유기 접속/보안관리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체크 하고 자기가 원하는 원격 관리 포트 지정(5자리 이하 ex)3333 ) 후 메모
4) 고급설정>특수기능 탭 - WOL 기능 기록해뒀던 MAC 주소 입력하고 PC 설명 아무거나 입력해서 추가(원격으로 PC키고 싶을때 이제 이걸로 킬 수 있음)
5~8 서브공유기 편 (멀티브리지 필요없으면 이거 생략하면 됨)
5) 서브 공유기(iptime 나는 듀얼밴드지원되는 모델임 - 멀티브리지 용) > 기본설정 탭 - 펌웨어 업데이트 > 이름을 같게 하면 알아서 가까운쪽으로 연결되고 난 SSID다르게했음 메인SSID가 WF_5G면 WF_5G-2 이런식으로 지정했음. 듀얼밴드라면 2G나 5G하나만 브리지해야하고 고로 하나만 확장가능하기에 2G를 껐음 (기본설정 탭 -무선 설정/보안에 On/Off있음)
6) 고급 설정>네트워크 관리탭 - 내부 네트워크 설정 메인공유기에서 DHCP주소 받을 거 지정 난 192.168.1.11 (만약 위에 + 안했으면 192.168.0.11이나 192.168.0.? 공유기 고유 주소 아무거나 정해주면 됨)
7) 6)과 같은 탭 - DHCP 서버 설정가서 DHCP 서버 동작 실행-> 중지
8) 고급 설정>무선랜 관리탭 - 무선확장설정 2G나 5G하나만 무선 확장 방식 무선 브리지(리피터)로 설정하고 AP 검색 눌러서 메인공유기 네트워크 고른 다음 메인공유기 네트워크 접속암호 입력해 적용버튼 클릭
9) 이제 서브공유기랑 WOL 컴터랑 랜선연결하면 됨 (이미 서브공유기가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받고 있으니 네트워크 선이아니라 네트워크 분할하는 곳에 연결해야함! 1,2,3,4.. 이런 곳이랑 컴터랑 연결)
이제 1)에서 적어둔 주소와 3)에서 적어둔 포트를 사용해 관리자 페이지 접속하여 WOL기능을 만끽하면 된다. 앱도 있으니 앱에 등록해두면 더 편하게 제어할 수 있음.
ex) 210.153.111.123:3333 (내꺼아님 가상 주소임) IP주소:포트번호
계륵같은 정보들
- 무선 WAN보다 멀티브리지의 속도가 더 빠르다.
- iptime 듀얼밴드 2.4GHz, 5Gz 는 멀티 브리지 사용할려면 하나만 사용해야 무한 루프 현상 일어나지 않는다.
- 원격제어 멀티 모니터 사용방법(원격지나 실제공간이나 둘 중 하나만 멀티 모니터가 있어도 멀티로 사용가능!!)
1) [디스플레이] -> 모든 모니터를 원격 세션에 사용을 체크
2) 명령어로 mstsc /multimon
- 원격제어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 수 있다.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