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진행하는건 개인프로젝트보다 몇배는 힘들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원이 많을수록 협동, 피드백등 장점도 있지만 커뮤니티 비용, 규격화 비용증가, 책임감 저하 등의 단점이 더 많아 질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 팀 프로젝트의 인원은 2 ~ 4 명이 적당.
이번 팀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진행자를 돌아가면서 진행하였고 그 효과로 모든 인원이 책임감 있게 참여 하는 모습을 기대하였지만, 오히려 역 효과로 프로젝트 진행이 불안정 하였고 계획적인 프로젝트 진행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어느정도의 책임감을 갖는 장점도 있었지만, 단점이 더 많았습니다.
- 역할 분담을 제대로 해야한다.
- 진행자를 돌아가면서 한다면 전체적인 그림을 잡아줄 총 책임자가 있어야 한다.
팀 프로젝트시 문서화에 대한 중요도도 느낄수 있었습니다.
google App 을 이용한 문서화 및 공유를 진행하였는데, 나름 꼼꼼히 문서화하고 관리하여 프로젝트 진행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만, 참여율이 생각보다 좋지 않았고, 나름 꼼꼼히 관리한다고 했지만 대부분 처음 해보는 문서화였기 때문에 부족한점이 많았습니다. 문서화 기술도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문서화때는 UML과 여러 도구를 이용해볼 생각 입니다.
참여율의 문제는 아무래도 문서화에 대한 문제라기보단, 책임감 부족에 대한 문제로 인원이 너무 많은것에 대한 부작용으로 보고 있습니다.
- 문서화로 프로젝트 진행율에 대한 시각적 정보 제공.
- google App등의 도구 활용을 통한 커뮤니티 증가.
- UML등 좀더 많은 문서화 기술과 도구의 도입 필요.
프로젝트 진행 및 개발에 필요한 학습 관리도 회의때 건의 되었는데, 자율적인 관리로 의견이 논의 되었습니다.
자율적인 학습이라 해도 , 학습 방향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제시를 해 주었고 팀원들 모두 어느것을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갈피는 잡을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까지는 좋았지만.. 자율적인 학습에 대한 부작용으로 누가 얼마나 학습을 진행하였는가에 대한 시각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로, 프로젝트 내에 불안감이 조성되었으며 이는 프로젝트 지연의 가장 큰 이유로 이끌어 졌습니다. 팀원들간 학습에 대한 어느정도의 시각화 및 관리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 학습 방향 제시
- 학습정도에 대한 시각화 및 관리 필요.
- 일촌학습 완료율은 얼마나 되나요?
- 성공하는 일촌학습과 그렇지 못한 일촌학습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앞으로 방향을 어떻게 잡아야 일촌학습이 잘 이끌어 질거라 생각하시나요?
- 아쉬운 점은 무엇인가요?
- 일촌학습들의 성과는 어떻게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