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hongsw
Last active December 8, 2024 03:40
Show Gist options
  • Save hongsw/127167973ac80bf303eac27f43314fff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Save hongsw/127167973ac80bf303eac27f43314fff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 광해군일기[중초본]18권, 광해 1년 7월
# 광해군일기[중초본]18권, 광해 1년 7월
비변사가 진휼사를 차출하여 서로 지방의 한재책을 규획할 것을 아뢰다
이조가 대제학 유근의 차자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을 아뢰다
사헌부가 역관 표헌 등을 파직시킬 것을 아뢰다
사간원이 문관·무관·음관을 물론하고 재능을 헤아려 수령을 임명할 것을 아뢰다
신흠·서성·강홍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박진원·유공량·경섬·이이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영의정 이원익이 사직소를 올리다
사헌부가 연계하여 임춘발 등의 파직을 청하다
사헌부가 파직을 계청하다
예조가 태묘 신주에 쓰인 호가 같지 않음을 심의하여 아뢰다
이조가 진휼사 최관의 계사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을 아뢰다
사헌부가 탐오한 인동 부사 김윤명 등을 파직할 것을 아뢰다
영의정 이원익이 사직소를 올리다
이조의 가낭청이 간원의 관원 중 1원을 체차하여 서경하게 하기를 아뢰다
춘추관이 선왕조의 《실록》을 찬출하기 위해 당상과 낭청을 차출할 것 등을 아뢰다
자전께서 부묘한 후 통명전을 즉시 수리 단장할 것 등을 이르다
광해군일기[중초본]19권, 광해 1년 8월
춘추 향사·가묘제 등의 축문 사용에 대한 예조의 건의
증광 별시의 감시에서의 부정
곽규의 일로 인해 자신의 파직을 행 대사간 이필영이 요청하다
곽규의 일로 인해 자신의 파직을 정언 홍위가 요청하다
경기 감사 김신원이 도내의 한재에 대한 기우제를 요청하다
가을에 기우제를 지낼 것에 대한 예조의 건의
기우제의 실행에 대한 좌의정 이항복과 우의정 심희수의 건의
대사간 이필영과 정언 홍위의 체직에 대한 사간원의 건의
승문원 저작 임건과 의성 현령 김구정의 파직에 대한 사헌부의 건의
성전에의 위안제 거행을 경기 관찰사 김신원이 치계하다
동지사에 보내는 표문에 절하는 예의 거행에 대해 비망기로 이르다
박홍구·유희분·민덕남·윤효선·강신·신경락·이성길·한찬남·임장·홍방·홍위·이명·이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자신의 체직에 대해 대사헌 조정이 건의하다
감시 일소에서의 금란관·삭령 군수 김현성 등의 파직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산릉에의 참배일을 택일하도록 비망기로 이르다
사묘에 수직하는 군인의 숫자를 대원군의 묘소의 예에 의서하도록 하다
중국 사신이 사용한 물건에 대한 보고가 늦은 것을 추고하도록 비망기로 이르다
자신의 체직에 대해 대사간 유희분이 건의하다
대사간 유희분의 출사를 사간원이 건의하다
영의정 이원익이 스물두 번째 사직서를 올렸으나 이를 반대하다
백성의 부역을 감해줄 것에 대해 비변사가 건의하다
동지사의 배표례를 행하다
대사간 유희분이 자신을 체직을 요청하다
헌납 채경선·정언 이순 등이 업무 과실로 인해 자신들의 파직을 건의하다
대사헌 조정이 자신의 체직을 건의하다
도사 조명욱의 과장에서의 거자됨이 부당함에 대한 경상도 관찰사 강첨의 치계
유희분·채경선·이순·조정 등의 일에 대해 사헌부가 출사를 건의하다
건원릉·현릉·유릉 등에 각각 관원을 파견해 제사지낼 것에 대해 예조가 건의하다
요동 엄도사의 책봉 축하 내왕을 금하도록 예조가 건의하다
배릉 때에 경기 백성들을 부역하지 말도록 비망기로 이르다
유공량·윤휘·이정험·윤양·최기남·김치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배릉 때에 호위와 도성에 남는 등의 일에 만반의 준비를 갖추도록 비망기로 이르다
중전이 타는 수레의 개조를 비망기로 이르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사직을 청하며 언로를 열 것에 대해 정언 김치원이 아뢰다
김치원의 사직에 대해 승정원에서 아뢰다
도내에 풍변으로 인한 수재 등에 대해 경상 감사 강첨이 치계하다
풍변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통제사 이경준이 치계하다
천추절의 망궁례를 거행하다
김치원의 사직에 대해 승정원이 아뢰다
태복의 말 사용에 대해 비망기로 이르다
영의정 이원익이 스물세 번째 사직서를 올리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시사청 앞에서 내구마를 사열하다
감시 이소에서의 시관·감시관 등의 부정에 대해 사헌부가 아뢰다
도내의 수재에 대해 경상 감사 강첨이 치계하다
태백성이 나타나다
사헌부의 파방 요청에 대해 윤허하지 않다
김치원의 일에 대해 부제학 정협과 부교리 최교남·김지남 등이 올린 차자
영의정 이원익에게 체직을 허락하다
유희분·최유원·박이장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영모전으로 나가다
영모전에서 제사를 지내다
진시에 환궁하다
윤효선이 병으로 상경하지 못하자 병을 조리하도록 명하다
살구꽃이 피다
장단 부사 권성기의 파직을 정언 홍위가 건의하다
복상의 연기를 좌의정 이항복이 건의했으나 우의정이 집에서 하도록 명하다
복상의 연기를 이항복이 건의하다
성절의 망궐례를 거행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김치원의 일에 대해 사헌부 윤양·윤선·이충·신경락 등이 올린 차자
보내준 내의·어의의 일에 대해 완평부원군 이원익이 올린 차자
과거 시행의 어려움에 대해 문과 일소의 시관이 아뢰다
과거의 질서를 바로잡는 일에 대해 비망기로 이르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삭령 군수 신응구를 인견하고 직분을 다할 것을 당부하다
홍이상·정엽·남이공·오백령·이지완·조희일·이명·오익·박재·김상관·안응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부묘 때의 노부 대장의 마련에 대해 부묘 도감이 아뢰다
아성 부원군 이산해에게 내의를 파견토록 전교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노부 대장의 준비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을 부묘 도감이 아뢰다
아성 부원군에게 동부승지를 보내 말한 것을 기록해 보고하도록 하다
아성 부원군 이산해의 졸기다
동궁의 학습을 위한 서적의 구입을 시강원에서 건의하다
용인에 사는 향화인들의 횡포에 대한 이주책을 비변사가 건의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나타나고 오시에 영두성이 나타나다
선천군에서 불덩어리가 떨어지다
우의정 심희수가 왕도에 대해 아뢰다
방민에게 공역을 감해줄 것을 승정원이 건의하다
황주에 지진이 나다
김수·남이공·유간·이경함·경섬·임장·오정·목대흠·김장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거둥 때 벼와 곡식을 밟는 자의 처벌에 대해 비망기로 이르다
배릉 때의 곡의 절차에 대한 준비를 승정원이 건의하다
곡의 절차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을 예조가 아뢰다
축시에 목릉으로 거둥하다
진시에 능 아래의 막차에 이르다
진시에 정자각에 이르러 제례를 거행하다
사시에 능 위를 돌며 살핀 뒤에 임시 처소로 돌아오다
배릉에 수고한 관원들에게 포상을 전교하다
미시에 송계 막차에 머물다
유시에 환궁하다
배릉 때에 의금부·병조 등의 직무 태만과 간성 군수의 체직을 사간원이 건의하다
윤국형·김상헌·정광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광해군일기[중초본]20권, 광해 1년 9월
사간 김상헌이 장령 이욱과의 상피로 인해 자신의 체직을 요청하다
황정록의 체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자전의 배릉에 대해 의논토록 명하다
목릉을 수호하는 군인들을 후대하는 것이 지연됨에 대해 해당 관원을 추고하도록 명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노부 의장의 소가 사용과 황정록에 체직에 대해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정인홍의 상소 사건과 영남우도의 유생들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함경도 정평에서 바람·싸락눈으로 인한 피해
충청도 단양군과 보은현에서 나타난 기이한 자연현상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자전의 배릉이 불가함을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의금부 죄인 덕례의 추문에 따른 공사의 내용
죄인 덕례의 사건에 관한 처벌을 위관 심희수가 묻다
의금부 죄인 김상신에 관한 공사의 내용
죄인 김상신의 형추를 위관이 건의하다
김상신·송덕례의 일에 대한 처벌을 위관이 묻다
송덕례의 처벌을 대신에게 의논토록 명하다
배릉하고 환궁할 때 소란 일으킨 김준경·정활 등의 처벌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밤1경과 3경에 나타난 유성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경연의 재개에 대해 승정원이 아뢰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간원에서 재차 청하다
자전의 배릉 중지에 관해 부교리 최기남·김지남 등이 올린 차자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사헌부에서 건의한 자전의 배릉 중지를 윤허하지 않다
원임 대신의 복직에 대해 승정원이 살피도록 명하다
배릉 때에 집사·진배 관원에게 포상한 예를 조사하도록 명하다
좌상·우상을 복상하도록 명하다
자전의 배릉에 대해 대신들이 의논한 내용
자전의 배릉을 간편히 하도록 전교하다
죄인 송덕례의 사건에 관해 대신들이 의논한 내용
이덕형·윤승훈·황신·박홍구·이정귀·허균·이호의·민덕남·유희량·유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정언 유희량이 자신의 체직을 요청하다
자전의 배릉·내린 상의 환수 등에 대해 사간원이 건의하다
영남 유생의 처벌 중지·자전 배릉의 중지 등에 대해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순회 세자의 후사를 세우는 일에 대해 예조가 아뢰다
영의정 이덕형이 자신의 체직을 요청하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가뭄·바람·서리 등으로 인한 피해상황을 경기 감사 김신원이 치계하다
상참·경연의 취품에 대해 승정원이 아뢰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헌부가 요청하다
죄인 송덕례의 처벌에 대해 사형의 감면을 결정하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간원이 요청하다
자신의 체직을 요청한 영의정 이덕형의 차자
죄인 김상신·송덕례를 각각 함경도 종성부 동관현·경상도 거제현에 유배하다
김신원·이수광·임장·윤중삼·채경선·유희량·김광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간원에서 재차 요청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사헌부·사간원이 합계해 요청하다
제도의 말을 점검하는 행사의 중지를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제도의 말을 점검하는 행사의 중지를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윤효선·소광진·홍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신시에 영모전에 나가다
이상 기후가 나타나다
축시에 망제를 거행하다
자전의 배릉 중지를 양사가 합계하다
영의정 이덕형의 사직서에 대한 불윤 비답의 내용
제도의 말을 점검하는 일에 대해 사복시가 아뢰다
정언 윤중삼이 자식의 파직을 요청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상참·경연에 대해 승정원에서 취품하다
자전의 배릉 연기를 양사에게 답변하다
영광 군수 안창·은진 현감 권수기의 파직을 사헌부가 건의하다
제도의 점마에 대해 사간원에서 아뢰다
윤국형·최관·이현영·박정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민희건의 축출을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민희건을 축출을 사간원이 연계하다
민희건의 축출을 사헌부가 연계하다
좌찬성 정인홍의 병세에 약품을 보내도록 명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민희건을 성문 밖으로 내보낼 것을 명하다
여주 목사 이영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능해군 구성에 관한 초안이 늦은 것에 대해 정언 윤중삼이 자신의 파직을 요청하다
능해군 구성의 초안과 관련해 대사간 박이장이 체직을 청하다
능해군 구성의 초안과 관련해 정언 조희일이 파직을 청하다
민희건의 귀양을 사헌부가 연계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능해군 구성의 초안과 관련해 헌납 임장이 파직을 청하다
대사헌 최관·지평 신경락이 체직을 청하다
집의 민덕남이 파직을 청하다
지평 소광진이 파직을 청하다
오랑캐 노추와 여허 간의 싸움에 대해 남병사 이윤룡이 치계하다
북방 오랑캐의 정황을 조사하고 방비하도록 함경 감사 장만이 치계하다
조정·김상헌·유경종·이욱·채경선·오정·목대흠·윤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구성의 일에 관한 홍문관 남이공·정광성·최기남·오익 등이 올린 차자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제도에서 권선 징악할 일을 조사하도록 전교하다
영의정 이덕형의 네 번째 사직서에 대한 답변의 내용
궁궐의 건축 중지를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구성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홍위·목취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민희건을 고향으로 보내도록 명하다
민희건의 일에 대해 사간원이 요청하여 똑같이 대답하다
강원도에서 일어난 기이한 자연현상에 대해 강원 감사 이형욱이 치계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이덕형의 출사를 좌의정 이항복·우의정 심희수가 건의하다
민희건의 귀양을 양사가 연계하다
민희건의 귀양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오시와 신시에 내린 우박
민희건의 귀양이 지나치다고 양사에 답하다
민희건의 귀양이 지나치다고 사헌부에 답하다
유숙·이기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판중추부사 기자헌이 올린 차자에 대한 답
서해 조압도에서 잡은 해적 21명에 대한 평안 감사 이시발의 치계
영의정 이덕형의 다섯 번째 사직서에 대해 출사하도록 당부하다
예천에서 일어난 지진
# 광해군일기[중초본]21권, 광해 1년 10월
《선원록》의 기록을 시정해 줄 것에 관한 충의위 이덕린의 상소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신병으로 인한 사직을 청원한 좌찬성 정인홍의 차자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창경궁 수리에 필요한 역원의 감원을 궁궐 영조 도감이 건의하다
이호신·이성·강홍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임진년 이전의 《실록》 수정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실록청에서 요청하다
영의정 이덕형의 여섯 번재 사직서에 대한 답변
중국 사신 유 천사의 예우에 대해 비변사가 문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이덕형의 일곱 번째 사직소에 대한 답변
자신의 사직을 청원한 장령 이기설의 상소
독서당의 혁파 등에 대해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마전 군수 허임의 체직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지중추부사 이정귀가 용인 지방의 가뭄 피해에 대해 보고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승지·사관의 파직·체차에 대해 사간원이 건의하다
사관의 체직·마전 군수 허임의 체직 등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의금부 낭청이 서인과 천인 간의 관계 정립을 건의하다
장령 이기설의 두 번째 사직 상소에 대해 윤허하다
승지의 체차를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허임 및 승지의 체차를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최현·이경직·이성구·윤형·이정험·유색·최기남·임득의·윤공·이호민·김신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호패의 거행과 관련한 서목 마련을 비변사에서 하도록 병조에서 건의하다
홍천경의 정거 해소를 주장한 사관의 관원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허임 및 승지의 체차를 사헌부에서 요청하다
허임·홍천경의 일을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재신·공신의 휴가에 말을 주지 말도록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정호선의 상소에 대한 전교
북방 오랑캐 노추의 상황에 대한 평안도 관찰사 이시발의 치계
이덕형의 여덟 번째 사직소에 대해 승지 김신국을 보내 유시하다
대신들이 영건청을 총재할 것을 전교하다
화약의 비축에 대해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중국으로 가져 갈 예물에 대해 비변사가 건의하다
등극 증광별시에서 홍천경 등 33명을 뽑다
허임의 체차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국고의 낭비 방지에 대해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주청사 신흠·구의강 등이 경비 절약을 건의하다
중국 사행에 사용할 별도의 예물 준비에 대해 비망기로 이르다
새로 지은 창덕궁으로 이사갈 날의 선택에 대해 승정원에서 건의하다
창덕궁으로 이사가는 문제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
사관의 관원 파직·허임의 체차에 대해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논남의 옥사에 대해 삼성 추국할 것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계사의 유문에 대한 기사
사역원이 몽학 별체아 10명을 다시 둘 것을 청하다
전시를 열어 홍천경 등 33인을 뽑다
선왕 탄일의 별제에 대해 전교하다
허임에게 녹봉을 줄 것을 전교하다
판의금부사 이호민이 자신의 체면을 요청하다
이호민의 체면에 대해 이비가 건의하다
궁궐 공사의 완료와 《의궤등록》의 수정에 대해 궁궐 영조 도감에서 아뢰다
선왕 탄일의 별제에 대해 대신들이 의논할 것을 예조에서 건의하다
정사호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논남의 옥사와 관련해 자신의 잘못을 처벌해 줄 것을 우의정 심희수가 요청하다
북방 오랑캐에 대한 방비 철저를 전교하다
이호민·김신원·윤승길·정사호·오억령·이충양·이욱·이명·이빈·오익·홍천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영의정 이덕형이 자신의 사직과 경연의 재개에 대해 요청하다
포수 주경의 방납에 대한 처벌을 군기시에서 요청하다
충신·효자·열녀 등의 정표에 대해 논의·복계하도록 전교하다
논남의 옥사·홍천경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홍천경의 사판 삭제를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홍천경의 일에 대해 사헌부·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사간 유경종이 홍천경의 일에 대해 연계하다
대사헌 정사호가 사직을 청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충신·효자·열녀 등의 정표에 대해 예조에서 건의하다
홍천경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홍천경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사헌부가 홍천경의 일을 연계하다
사간원이 홍천경의 일을 연계하자 따르다
약으로 장복하는 모과의 상납에 대해 전교하다
도감 초군의 이탈을 엄히 단속할 것에 대해 훈련 도감에서 건의하다
창경궁 수리에 사용할 재목·요포 및 재료의 준비에 대해 궁궐 영건청이 건의하다
새로운 초군의 선발에 대해 훈련 도감에서 건의하다
중전·왕세자의 교명에 대해 책례 도감이 건의하다
선왕 탄일의 별제에 대해 영의정 이덕형이 의견을 개진하다
내은남·충금의 처벌에 대해 조율할 것을 의금부에서 건의하다
외적의 침입에 대비할 것을 함경 감사·병사에게 유시할 것에 대해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기민 구제를 위한 진휼사의 파견에 대해 비변사가 대책을 건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유생 우형 등이 올린 상소에 대해 비변사에서 그 처리방법을 요청하다
북청의 문신 병사 파견에 대해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역관 장세굉의 승진에 대해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이운룡·윤안성·심열·이정험·한찬남·오익·임장·윤중삼·조익·강홍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밤 2경에 달이 태미원으로 들어가다
거제 현령 원수의의 직분 남용에 대해 그 파직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주서의 엄격한 교대에 대해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환관들의 늑장부리는 습관에 대해 엄한 처벌을 전교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실록 수정에 관한 일을 실록청에서 건의하다
흉년에 임해 중국 사신의 영접에 대해 비변사에서 그 대책을 요청하다
세자의 개명에 대해 사부들이 의논하도록 전교하다
사직하기를 청한 좌찬성 정인홍이 올린 차자의 내용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내관 한신의 태만을 추국하도록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왕세자 교명축의 양식을 책례 도감에 내리도록 하다
흠사 고명 및 본조의 교명에 대한 방법을 책례 도감에서 요청하다
중 유정의 병에 해당하는 약을 보내도록 전교하다
방물 진상에 대해 선혜청이 의견을 묻다
방문 진상에서의 원단자의 결정에 대해 선혜청이 의견을 묻다
진상품의 품목에 대한 비답을 선혜청에 내리도록 전교하다
윤양·김지남·김광엽·박사제·이후·유색·조정·김상용·심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내관 한신의 나국을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내관 한신의 나국을 사헌부에서 요청하다
유정의 병이 중풍임에 병세를 묻고 약을 보내도록 명하다
# 광해군일기[중초본]22권, 광해 1년 11월
숙천 부사 심종침의 체차를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조광조의 증손 조의현의 부직에 대해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황해 병사의 문관 겸직에 대해 비변사에서 요청하다
이신원·이윤우·이수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생원·진사 초시를 베풀다
좌승지 윤휘가 비밀리 상소한 것에 대한 답변
수원·부사 정항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김거병에게 수원 부사를 제수하는 것에 대해 이조에 전교하다
이정험·이지완·신경락·이호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각역 전지의 회복 대책에 대해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서원·향교의 정비 및 국고의 엄격한 관리 등에 대해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자신들의 체직을 대사간 박이장 및 윤양·오익·윤중삼 등이 요청하다
탄일의 별제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을 예조에서 아뢰다
박엽에게 황해 병사 제수를 비변사에 묻도록 전교하다
대사간 박이장 이하의 출사를 사헌부에서 요청하다
화약 제조에 필요한 함토의 채취에 대해 훈련 도감에서 건의하다
창덕궁에 수직 군사를 증원하도록 전교하다
수원 부사를 문관으로 임명할 것에 대해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백사림의 일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 내용
수원 부사의 문관 임명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수원 부사의 문관 임명에 대한 사간원의 연계에 답하다
중국 조정의 중사에게 보내는 선물에 대해 승정원에서 건의하다
수원 부사의 문관 임명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제주 목사 변양걸·장수 현감 이응룡 등의 파직과 백사림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변양걸의 국문을 사헌부가 건의하다
수원 부사의 문관 임명을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처부 이산해의 장례로 영의정 이덕형이 휴가를 청하다
우의정 심희수의 네 번째 사직서에 대한 답
사가 독서에 대해 대제학 이정귀가 아뢰다
백사림의 처단에 대한 생원 우형의 상소
영의정 이덕형이 처부 장례로 보령에 내려가는 데에 대한 하사품
공부 요역의 경감에 대해 진휼사 이항복·부사 황신이 아뢰다
수원 부사의 문관 임명에 대해 사간원이 연계하다
중국에 보낼 예물·창관의 엄격한 임명 등에 대해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이정귀·최기남·이호신·조성립·금업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신시에 쌍무지개가 동방에 나타나다
해숭위 윤신지·동양위 신익성 등의 아비 영접 행차의 정지를 사헌부에서 요청하다
파주 목사 이세온·안성 군수 정영국 등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변양걸의 국문·군자감 계사에 의한 공사의 중지·윤신지 등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우의정 심희수의 다섯 번째 사직서에 대해 전교하다
경연의 재개에 대한 대사헌 정사호 이하 이정험·이충양·김지남 등의 차자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윤양·정호서·조익·김성발·오정·이기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4경에 달이 태미 서원 안으로 들어가다
수원 부사 김거병·평산 부사·박엽·용강 현령 한여숙 등의 체직을 사헌부에서 요청하다
허준의 귀양을 석방하도록 전교하다
죄수들을 조속히 판결하도록 좌부승지 김신국이 건의하다
세자의 회강·조강 연기를 정지하기를 시강원에서 건의하다
김거병·박엽·한여숙 등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비변사에 대한 내수사 관원의 방자함에 대해 승정원에서 아뢰다
허준의 석방 철회를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변응성·김준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김거병·박엽·한여숙 등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허준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세자 책봉의 일로 신흠·구의강·한찬남 등을 파견하며 전교한 내용
영동 아홉 고을의 재변·이사에 대한 강원도 관찰사 이형욱의 치계
허준의 일에 대해 의금부에서 아뢰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영의정 이덕형이 돌아와 평택·직산·아산·신창·예산 등지의 상황을 보고하다
영모전에 나가다
호위 군사에게 숯·빈 섬을 지급할 것을 명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미지에 나타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축시에 동지제를 지내다
묘시에 인정전에서 망궐례를 행하다
한림의 겸춘추에 대해 실록청에서 요청하다
삼척 부사 윤청의 파직·내수사 차지 관원의 엄한 처벌에 대해 사헌부에서 요청하다
허준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건의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나타나고, 4경에 나타난 유성의 모양
흡곡 현령 김담령·정의 현감 이정경의 파직 및 비인 현감 이광백의 사판 삭제를 건의하다
허준의 일 및 박천 현감 이인우·영덕 현령 정도 등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기자헌·정인홍 및 고 부원군 이산해·고 사부 성호 등의 처소에 물품을 내리도록 전교하다
죄수 권령·경영 등의 조속한 처결에 대해 전교하다
경연 재개에 대한 취품을 승정원에서 아뢰다
안동 죄수 우천필·우천보·우치서·우천서·문덕룡 등의 충주 이감에 대해 사헌부에서 아뢰다
허준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허욱 등의 서계 여부에 대해 이조에서 문의하다
수령·변장 및 전조 관원 등을 엄격히 선발할 것에 대해 전교하다
왕세자의 휘자 개정을 종묘에 고하는 문제에 대해 예조에서 문의하다
남이공·최관·민인백·민경기·이경함·홍경신·이수광·윤경립·윤공·소광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사학의 재건립 및 노산군·연산군 등의 분묘에 대한 정리 등을 예조에서 건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예조가 효경전 친제 복색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을 아뢰다
예조가 순회묘의 입후하는 일에 대한 의논을 아뢰다
박건·조희일·윤효선·최기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영의정 이원익이 사직소를 올리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비변사가 전라 병사 정기룡의 사직 상소가 정리에 절박하다고 아뢰다
사헌부가 세자 책봉의 예를 늦춘 당상과 낭청을 추고할 것 등을 아뢰다
민덕남·임장·홍유의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장령 이욱 등이 세자 책봉의 예를 늦췄다고 잘못 아뢴 일로 사직하기를 청하다
대사헌 이시언이 세자 책봉의 예를 늦췄다고 잘못 헤아린 일로 사직하기를 청하다
사간원이 대사헌 이시언 등을 체차할 것을 아뢰다
조정·윤선·이충양·박여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사헌부가 학록 김직재를 황예로 찬출하라고 아뢰다
영의정 이원익의 정사에 사직하지 말라고 답하다
사간원이 전 병사 김종득에게 첩을 주라는 명을 환수할 것 등을 아뢰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대사헌 조정이 지난해 죄지은 사람들에 대해 계품하지 않은 일로 사직을 청하다
사간원이 은을 납부하고 군에 봉해진 연성수 이몽호를 개정할 것을 아뢰다
사헌부가 대사헌 조정을 출사시킬 것을 아뢰다
대사헌 조정이 지난해 죄지은 사람들에 대해 계품하지 않은 일로 사직을 청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도승지 박진원이 경연 시사를 취품할지 여부를 아뢰다
장령 윤선 등이 대사헌 조정의 일로 사직하기를 청하다
사간원이 은을 납부하고 군에 봉해진 연성수 이몽호를 개정할 것 등을 아뢰다
선조에 종실로서 은을 바쳐 봉군된 예가 있었는지를 상고하라고 전교하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승정원이 유 천사가 보낸 봉서 등에 대해 회첩 등을 하지 말 것을 아뢰다
22일부터 5일 동안 한강이 붉고 흐리다
이정험·이충·이돈·채경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홍문관이 순회묘의 입후하는 일에 대해 상고한 것을 아뢰다
사헌부가 고산리 첨사 정충신을 체차할 것 등을 아뢰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동지사 정경세가 이름 중 ’세’ 자를 임시로 다른 글자로 고치는지 여부를 아뢰다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승문원이 정경세의 이름을 우선 다른 글자로 고칠 것 등을 아뢰다
호조가 종실로서 곡식을 바쳐 봉군된 일을 상고하여 아뢰다
연성수 이몽호에게 구례에 의해 도정을 제수하다
영의정 이원익이 사직소를 올리다
병조 판서 이정귀가 차자를 올려 대제학을 사직하다
# 광해군일기[중초본]23권, 광해 1년 12월
왕세자의 휘자 개정에 대해 예조에서 아뢰다
허준의 석방 명령 철회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궁궐 수리에 필요한 재료의 조달에 대해 전교하다
허준의 석방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허준의 석방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우의정 심희수의 일곱 번째 사직서에 대한 답
새로 지은 궁궐로의 이사에 대해 사헌부에서 아뢰다
윤양·오정·윤휘·윤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왕세자의 휘자를 종묘에 고하는 것에 대한 대신들의 의논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황해 병사 심열의 부임에 대해 비변사가 건의하다
충청좌도 문과시에서의 근무 태만자 김용·한효중·신정의 등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청하다
김광엽·오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분호조의 혁파와 그 대책을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경시관의 파직·그 방의 삭제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부묘 때의 채붕·나례 정지가 어느 때인지 예조에 묻도록 전교하다
대상 후 혼전에의 제사에 대해 예조에서 아뢰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은을 돈으로 활용하는 일에 대해 대신들이 의논하도록 전교하다
기자헌의 만언차에 대한 답변
기자헌을 총애하다
김상용·황치경·홍경신·조정립·박사제·이현영·김광욱·송상인·김지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궁궐 경비를 위한 각처 군보의 수축에 대해 전교하다
백사림을 용서하고 변경에 들여보내도록 전교하다
황석 산성 방어에 공로가 있는 자의 전례에 대해 상고하도록 전교하다
사시에 태백성이 오지에 나타나다
부묘 때의 채붕·나례에 대해 예조에서 아뢰다
친제 때에 잘못 계달한 별감을 추고하도록 전교하다
백사림의 정계에 관한 모의와 관련해 대사헌 김상용이 체직을 요청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오억령·이정험·이욱·박여량·이돈·윤공·박사제·이성·권춘란·목취선·강신·정사호·박진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간통과 관련해 박사제·신경락 등의 체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우의정 심희수가 올린 사직 차자에 대한 답
자신의 체임을 요청한 수찬 오익의 상소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숙천 부사 윤삼빙의 유임 철회를 사헌부에서 아뢰다
충청도 초면 각 고을의 세공 견감을 비변사에서 건의하다
자신의 체직을 청한 영의정 이덕형의 차자
영의정 이덕형이 배사하면서 자신의 체직을 청하다
윤삼빙의 유임 철회를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윤삼빙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충청 수사 이간·영암 군수 권여경 등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기신제와 납향 대제의 중복에 대해 예조에서 건의하다
윤삼빙의 일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충청 수사 이간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중국 사신의 대접을 담당한 관리들의 포상에 대해 논상하도록 전교하다
일본 사신의 대접을 담당한 관원들의 포상을 전교하다
태실 개봉 때의 관상감 여러 관원·장역에 대한 논상이 차등을 두도록 전교하다
북방 오랑캐의 방비에 대한 함경 감사 장만의 치계와 비변사의 회계
남이공·이덕형·김지남·서경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충청 수사 이간의 파직을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일본 사신을 대접한 역관 박대근·김효순 등의 포상이 과하다고 사헌부에서 아뢰다
유구 국왕이 조경 사신을 인하여 답한 자문의 내용
모든 《등록》을 베껴 보관하도록 전교하다
자신의 파직을 행 대사헌 김상용이 요청하다
이간의 일·태실 개봉 때의 관원 포상의 개정·검열 송상인의 처벌에 대해 사간원이 연계하다
김상용의 출사·의사의 출근 일수 계산 등에 대해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자신의 파직을 행 대사헌 김상용이 청하다
자신들의 파직을 집의 김광엽·장령 이성 등이 청하다
대사간 이덕형·사간 윤양·정언 김성발·윤공 등이 체직을 요청하다
정철의 아들 정종명의 상소에 대한 답
자기의 신원에 관계된 일은 상언하도록 승정원이 아뢰다
김상용·이덕형 이하 모두를 출사하도록 이호신·박사제·목대흠 등이 올린 차자
우의정 심희수가 자신의 출사를 아뢰다
정철의 일에 대해 사간원에서 아뢰다
왜 통사 박대근 등의 상가 개정·상소 봉입한 승지의 파직 등을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세자를 시강하는 관원 및 변장의 엄한 임용에 대해 전교하다
왜 통사 박대근의 일·상소 봉입한 승지의 파직 등을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왜 통사 박대근의 일·상소 봉입한 승지의 파직 등을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퇴임한 영원군 홍가신의 녹봉 지급에 대해 충훈부에서 건의하다
안희 등에 대한 상가 개정·승지 파면 및 추고에 대해 사간원이 연계하다
박대근 등에 대한 상가 개정·승지 파면 및 추고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이충양·박이서·장현광·윤효선·이준·오억령·박증현·오정·이홍주·채경선·이운룡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안희 등의 상가 개정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왜 통사 박대근의 상가 개정에 대해 사헌부에서 연계하다
왕세자의 소여 제작에 대해 책례 도감에서 아뢰다
정의 현감 김응린의 파직에 대해 사간원에서 연계하다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친제와 망궐례의 중복에 대해 좌의정 이항복이 건의하다
영모전에 나가 양화당에서 재숙하다
덕산현에 거위알만한 별이 떨어진 것에 대한 충청도 관찰사 유대정의 치계
이전 광해 1년 11월
숙천 부사 심종침의 체차를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조광조의 증손 조의현의 부직에 대해 사간원에서 요청하다
황해 병사의 문관 겸직에 대해 비변사에서 요청하다
이동
다음 광해 2년 1월
영모전에서 삭제를 행하다
영모전 춘향 대제에서 병판·예판 등을 헌관으로 개차하도록 전교하다
대상 후의 각종 차비 시위·하인 등의 건복 색깔을 묻도록 결정하다
이동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