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이상태면 kubectl command가 동작 안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사실 etcd가 pod으로 떠 있는 경우 저 ip들 영향으로 peer들이 싱크를 맺지 못하고 다 로컬을 바라보게 되기 때문임.
-
각 마스터의 kubelet을 내림 (kube-proxy가 살아나지 못하도록)
systemctl stop kubelet
-
각 마스터의 kube-proxy를 제거 (ipvs entry 추가하지 못하도록)
docker stop $(docker ps | grep kube-proxy | head -n1 | awk '{print $1}')
-
각 마스터의 ipvs 엔트리를 제거
ip a d ${MASTER1_IP} dev kube-ipvs0 ip a d ${MASTER2_IP} dev kube-ipvs0 ip a d ${MASTER3_IP} dev kube-ipvs0
-
이후 다시 kubelet 을 시작
systemctl start kube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