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April 2, 2010 02:22 
        
      - 
      
- 
        Save mait/352660 to your computer and use it in GitHub Desktop. 
    fonts.conf
  
        
  
    
      This file contains hidden or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 <?xml version="1.0"?> | |
| <!DOCTYPE fontconfig SYSTEM "fonts.dtd"> | |
| <fontconfig> | |
| <!-- | |
| 전체 글꼴에 적용되는 렌더링 옵션. 글꼴 개별적인 렌더링 설정보다 앞으로 | |
| 와야 합니다. | |
| - 영문 글꼴들은 대체적으록 autohint를 켜야 미려하고 깔끔하게 보입니다. | |
| - hintfull은 가장자리가 살짝 거칠어 보인다. hintmedium 선택. | |
| - 우분투의 경우 autohint off, hintmedium이 기본값 | |
| --> | |
| <match target="font"> | |
| <edit name="autohint"><bool>true</bool></edit> | |
| <edit name="hintstyle"><const>hintmedium</const></edit> | |
| </match> | |
| <!-- | |
| 한글 글꼴은 autohint 적용하면 대부분 찌글찌글해 보인다. 그러나 lang=ko | |
| 속성을 이용해서 일괄적으로 한글 글끌의 autohint 속성을 끄는 방법은 | |
| 다른 언어의 일부 글꼴에도 적용되는 부작용이 있어 각 글꼴별로 지정해서 | |
| 꺼줍니다. | |
| --> | |
| <match target="font"> | |
| <test name="family"> | |
| <string>NanumGothicCoding</string> | |
| <string>나눔고딕코딩</string> | |
| <string>LexiSaebomR</string> | |
| </test> | |
| <edit name="autohint"><bool>false</bool></edit> | |
| </match> | |
| <!-- | |
| 렉시새봄의 autohint를 끄면 굵은 글꼴일 경우 너무 번져 보인다. | |
| 별도의 굵은 글꼴이 없고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라 그런 듯. | |
| 렉시새봄 굵을 때 autohint on | |
| --> | |
| <match target="font"> | |
| <test name="family" ><string>LexiSaebomR</string></test> | |
| <test name="weight" compare="more"><const>medium</const></test> | |
| <edit name="autohint"><bool>true</bool></edit> | |
| </match> | |
| <!-- | |
| <match target="font"> | |
| <test name="family"><string>Lucida Bright</string></test> | |
| <test name="weight" compare="more"><const>medium</const></test> | |
| <edit name="hintstyle"><const>hintfull</const></edit> | |
| </match> | |
| --> | |
| <!-- | |
| 굵은 글꼴은 Lucida Bright 글꼴로 대체하기 위해 Lucida Std Bold 글 | |
| 꼴을 제거 | |
| --> | |
| <match target="pattern"> | |
| <test name="weight" compare="more"><const>medium</const></test> | |
| <test name="family"> | |
| <string>serif</string> | |
| <string>Lucida Std</string> | |
| </test> | |
|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 |
| <string>Lucida Bright</string> | |
| </edit> | |
| </match> | |
| <!-- 여러 글꼴을 섞어 하나의 글꼴에 매칭 시키는 방법이다. 임의의 | |
| 이름으로는 되지 않고 serif, sans-serif, monospace에만 동작 | |
| 하는 것 같다. 한글 글꼴의 경우 대부분 영문 글자를 포함하고 | |
| 있으므로 영문 글꼴의 위로 올려 우선순위를 높여야 원하는 영문 | |
| 글꼴과 한글의 조합이 가능하다. | |
| 중국어나 일본어 글꼴도 지정할 경우 중국어 글꼴이 더 많은 한자를 | |
|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한글 글꼴 보다는 우선순위가 높아야 할 것 같다. | |
| 일본어 글꼴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은데 확실치 않다. | |
| 한중일 글꼴의 조합 순위에 관해서 다음 fontconfig 메일링 리스트중 | |
| 다음 글타래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 |
| http://bugs.freedesktop.org/show_bug.cgi?id=20911 | |
| --> | |
| <alias binding="same"> | |
| <family>serif</family> | |
| <prefer> | |
| <family>Lucida Std</family> | |
| <family>Lucida Bright</family> | |
| <family>LexiSaebomR</family> | |
| </prefer> | |
| </alias> | |
| <alias binding="same"> | |
| <family>sans-serif</family> | |
| <prefer> | |
| <family>Lucida Sans</family> | |
| <family>LexiSaebomR</family> | |
| </prefer> | |
| </alias> | |
| <alias binding="same"> | |
| <family>monospace</family> | |
| <prefer> | |
| <family>Droid Sans Mono Slashed</family> | |
| <family>Droid Sans Mono</family> | |
| <family>NanumGothicCoding</family> | |
| </prefer> | |
| </alias> | |
| </fontconfig> |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으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