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는 openimage에 올라간것은 그냥 쓰면 되고 removeProtocol 만 해서 쓰자.. openimage가 아닌것은 openimage에 올려달라고 요청하면 됨
-
팀내에서 쓰는 컨벤션 숙지.
-
정렬하고 push
-
테스트 코드 작성은 개발과 함께
-
두서없거나, 용도가 불분명한 주석 지우고 push
(팀 컨벤션)
@JsonProperty("isUsed")
private boolean used;
- Objects.nonNull(streaming) 으로 객체가 비었는지 항상
- @JsonProperty("isUsed") 애노테이션. 누락한 것.
- q. 이게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까? 혹은 어떤 이득이 있을까? 궁금해짐.
- a.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2583638/when-is-the-jsonproperty-property-used-and-what-is-it-used-for
- a. @JsonProperty (name)는 Jackson ObjectMapper에게 JSON 속성 이름을 주석이 달린 Java 필드의 이름에 매핑하도록 지시합니다.
- more. https://github.com/FasterXML/jackson-docs 잭슨 문서 보면 이해가 될까? https://medium.com/trabe/customize-your-serialization-using-jackson-annotations-d6b81c4785a6 이런 애노테이션들은 남들이 쓰니까 나도 쓰는데. 이해는 잘 되지 않을때가 많다.
-
팀에서 타기로 한 공통로직을 빠짐없이 탔는지 / 안탔으면 왜 안타게 했는지. ex) error or response 꼴 만들어주는 로직.
-
캐시
캐시 더하고 날리기
캐시는 키:쌍 형태로 레디스에 저장이 된다.
레디스가 구분을 해야하니까. 키가 구분자의 역할을 해야한다.
키와 호출된 것의 리턴값을 쌍으로 레디스에 저장이 된다.
- 사용자별로 구분되어야하는 값은 사용자id도 키로써 함께 저장이 되겠죠 ㅇㅇ
- 사용자 구분되지 않아도 되는 상품값은 호출이 되었다면
디비에 한번 호출될때? ...
대형공연이면 2시간, 일반상품인 경우1분 정도 상품코드 값을 포함한 키와 리턴될 값으로 프론트 용 API서버의 레디스에 저장이 된다. BACK 단의 트래픽 조절위해서 ㅇㅇ
캐시를 add하는 것은 annotation을 사용한다. anntation으로 등록할 수 있다.
evict할때도 annotation을 사용한다. 필요없는 것을 한번에 지우면 되므로, 지우는 함수를 만들어 두고
이것은 우리 팀에서 필요할 시 호출하는 것이지 사용자에게 호출 받는 부분은 아니다.
goodsController의 deleteSummaryCache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