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View twinstae's full-sized avatar

Taehee Kim twinstae

  • 삶을 풍요롭게 하는 코칭
View GitHub Profile
@twinstae
twinstae / coding-is-fun-question-mark.md
Last active October 25, 2024 01:14
코딩은 재미 있나요?

안녕하세요. 탐토입니다. 오늘은 코딩이 어떻게 하면 재미있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요약

  • 자전거 배달부로 아기를 돌보는 분들에게 기저귀와 분유 배달하는 것도 보람찬 일이었다.
  • 코딩으로 가치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힘들지만 즐거웠으며, 보람찬 일을 하는 건 노동자의 권리다.
  • 천재 슈퍼 개발자가 아니면 무시 받아 마땅하고 해고와 연봉 삭감의 사유라는 것은 자본가들의 가스라이팅일 뿐이다.
  • 누구나 자기의 속도로 하나 둘 해나가면 성장하고 성취하고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
  • 쓸모 없지만 재미있는 일을 하다보면 쓸모도 생기는 것이지. 쓸모에 집착하면 우울해집니다.

저는 부럽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물론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척 한다고 욕도 먹습니다만. 부럽다는 레파토리 중에 하나는 "토끼 님은 코딩이 재미있어 보인다"는 것입니다.

@twinstae
twinstae / success-is-lie.md
Last active October 25, 2024 01:16
성공한 미래를 넘어 창의적인 해방으로

"만약에 원하시는 게 이뤄진 뒤에 ㅇㅇ 님의 모습은 어떨 것 같으세요?"

"어느 날 눈을 떠보니 기적처럼 모든 문제가 해결되어 있었다면, 어떤 모습일지 구체적으로 묘사해보세요."

이런 질문을 해보신 적이 있나요? 여러분이 코치나 상담, 멘토링 같은 일을 하시지 않더라도, 어디서 들어보신 적은 있으실 겁니다.

해결중심단기치료에는 기적 질문이라는 게 있습니다. 꼭 기적 질문이 아니라도, 코치나 상담사는 비슷한 질문을 많이 합니다. 10년 뒤의 꿈을 적으라는 진로 수업 과제를 다들 해보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원하는 결과는 무엇인지. 목표는 무엇인지도 듣습니다.

이런 기적 질문을 하는 이유는 다양하고, 장점도 많습니다. 사람들은 이런저런 현실적인 이유로 "안 된다", "못 한다"는 식으로 좌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변화할 수 없기에. 잠시 그런 제약에서 벗어나 상상력을 열어주고자 쓰는 질문입니다.

@twinstae
twinstae / anger-and-nvc-in-complex-world.md
Created October 27, 2024 17:54
복잡한 세상에서 화, 그리고 비폭력 대화

최근에 비폭력 대화 교육원에서 NVC 2 교육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계속된 "내가 어디에 속하고 기여하고 싶은가?"하는 고민에 답이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세상은 복잡하고. 우리는 이 복잡한 세상에서 단순하게 누군가를 나쁜 놈 만들고, 나르시스트로 만들고 분노하기에 앞서. 사람들을 이해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법을 찾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자유롭고 평등한 이들의 민주주의도 있고. 과학과 교육의 미래도 있지 않을까요.

세상은 복잡하고, 악인들을 버리고 나면 아무도 남지 않는다

비폭력 대화에는 여러 전제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내가 미워하고 틀렸다고 말하는 행동조차, 보편적이고 누구나 가진 욕구의 왜곡된 수단이고 표현이라는 것입니다.

제 삶의 대부분은 투쟁이었습니다. 그 투쟁은 왕따나 가난, 경제위기, 가정폭력, 닫힌 사회의 문제, 군대의 부조리, 채식주의자로 경험한 소수자의 삶 어쩌구저쩌구 등으로 요약될지도 모릅니다. 저는 그 길들을 걸으면서 제가 피해자라는데 골몰할 수는 없습니다. 따뜻한 사서 선생님을 따라 머물렀던 도서관에서 읽었던 수 많은 책들을 기억합니다. 나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고통들에 공감했던 시간들이었습니다. 그 책 속에는 성소수자들이 있었고. 철거민과 노동자들이 있었고. 전태일이 있었고. 지구 반대편의 전쟁과 가난이 있었고. 공장식 농장에서 죽임 당하는 동물들이 있었고 그랬습니다. 죽고 싶었던 시절에는, 내가 그래도 살아서 무엇이라도 할 수 있다는 것이 제가 살아남고 죽지 않을 유일한 이유였던 때도 있습니다. 상담을 받으며 이 이야기를 할 때마다 항상 울게 되는 기억들입니다.

@twinstae
twinstae / Articles-precedents-theories-and-legal-mind.md
Last active March 4, 2025 13:38
조문, 판례, 학설 그리고 리걸 마인드